2009년 12월 7일

`아부다비 오일머니`가 두바이 핵심사업 뒷받침





◆ 경제위기속 두바이를 가다 ◆

두바이 모기지社 2곳 아부다비은행서 인수…"건설중인 부동산도 절반은 살것"

크레인과 공사장 인부들로 분주한 두바이 팜 주메이라 인근의 건설현장.

두바이 서쪽 팜 제벨알리 공사현장 인근 고속도로변에는 눈에 확 띄는 글이 들어온다. `홍콩 2배 크기(Twice the size of Hong Kong)`라는 나킬(Nahkeel) 간판은 `워터프런트` 계획을 의미한다. `두바이에 70㎞의 해안선을 더한다`는 광고판은 `아라비안 운하 프로젝트`를 뜻한다.

하지만 실제 용지를 둘러보면 널따란 황무지만 보이고, 내륙 안쪽에는 낙타가 메마른 풀을 찾아 다니는 모습만 비친다. 한눈에도 `개발되기에는 한참 걸리고, 너무 크게 벌였구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 두바이는 인원 감축 바람

= 세계적인 금융위기 속에 아랍에미리트(UAE)도 타격을 피하기는 어렵다. 무디스에 따르면 2008년 6.5%에 달했던 경제성장률은 올해 2.3%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두바이는 10% 이상 성장하다가 뚝 떨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두바이 국내총생산(GDP)에서 30%를 담당했던 부동산 부문이 침체되니 어쩔 수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개발을 축소한 많은 부동산 개발업체가 비용 절감을 위해 인원을 줄이고 있다. 두바이 정부 소유 부동산 개발업체인 나킬이 500명, 민영 개발업체인 타미르와 다막은 각각 180명과 200명을 감원했다. 두바이와 영국 합자사 사마-ECH는 40명을, 이마르는 300명이나 줄였다는 얘기도 나온다.

강남훈 경남기업 아부다비지사장은 "금융권에서도 인원 줄이기가 이어지고 있으며, 일용 근로자들도 일감이 줄면서 10만명 가까이 두바이를 떠났다는 얘기도 들린다"고 전했다.

축소되거나 연기된 프로젝트도 많다. 야자수 모양인 `팜 주메이라`보다 4배가량 큰 `팜 데이라`는 매립작업이 중단되면서 당장 사업 추진이 불투명해졌다. 워터프런트는 사업 규모 축소가 고려되고 있으며, `월드 트레이드 센터`(사업 지연)와 `트럼프 타워`(사업계획 재평가)도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디즈니랜드 8배 크기인 두바이랜드(2억8000만㎡)도 수정이 불가피하다. 2003년 착공된 두바이랜드는 총사업비가 880억달러로 테마파크 4곳, 호텔 55개, 골프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바다 위에 만들어진 월드는 분양률이 70%에 달하는데 공사 인력 수송과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등 산적한 문제가 적지 않다. 한반도를 나타낸 섬은 9000평 크기에 240억원에 매각됐다는 얘기가 있으나 미래를 점치기 힘든 상황이다.

정창길 삼성건설 상무는 "두바이는 지나치게 잘나갔다. 침체기를 겪어봐야 안정도 되고 탄탄해진다. 건설자재와 인력도 너무 과대평가됐는데 조정돼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평가했다.

◆ 필요한 개발에만 집중

= 삼성건설은 지난해 12월 31일 `팜 주메이라 빌리지센터` 프로젝트를 미화 10억8000만달러(1조4000억원)에 단독 수주했다. 국내 건설업체가 국외 건축 부문에서 수주한 것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총 530가구를 수용할 수 있는 47층 높이 주상복합 2개동을 비롯해 쇼핑몰 백화점 극장 등을 건설하는 복합단지 개발로 5년 후인 2013년 말께 완공된다. 흥미 있는 것은 발주처가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나킬이라는 것. 팜 주메이라에는 이미 수천 가구가 입주해 있는 만큼 필요한 공사는 계속 추진한다는 의지로 비친다.

그에 앞서 지난해 12월 중순 씨티그룹은 두바이에 80억달러를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 이 자금은 주로 두바이 공공기금에 투입된다.

두바이가 기대하고 있는 원군은 아부다비다. 부동산 에이전트인 암로 바쉬르 무와피는 "두바이 개발 프로젝트가 모두 이뤄지려면 9000억디람(315조원)가량 필요하다는 얘기가 있다. 따라서 신용위기 속에 모든 개발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두바이는 석유자금이 풍부한 아부다비가 있다. 아부다비와 두바이는 서로 도우면서 함께 나아가야 할 동반자로서, 현재 두바이가 건설 중인 부동산 가운데 50%는 아부다비가 살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고 전했다.

◆ 투명성 확보ㆍ투기 방지 필요

= 두바이 미래가 불투명한 가운데 이번 기회에 `투명성 확보와 투기 방지` 등을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두바이는 근본적으로 왕정 국가다. 대형 개발업체는 국영이거나 왕족과 관계가 있다. 그러다 보니 빠른 사업 진척이 가능하다. 반면에 수요가 없을 때는 쉽게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모건스탠리 관계자는 "수요와 공급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가 부족하고 왕정국가여서 미래 상황 예측도 힘들다. 구매력을 갖춘 외국인이 얼마나 들어와 있는지도 알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최근 부동산 개발업체들은 `프리홀드(Freehold) 정책에 변화를 주문했다. 2002년 도입된 `프리홀드`는 99년간 부동산을 임차하면(사실상 사면) 가족에게 거주비자를 발급하는 제도. 그 후 1조달러가량 들어온 것으로 평가되며 그린 커뮤니티, 두바이 마리나, 주메이라 레이크 타운, 아라비안 랜치, 인터내셔널 시티 등이 세워졌다. 3만가구 이상이 프리홀드 정책에 따라 이주한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다 2008년 초 부동산 소유주에게 거주비자를 주는 정책이 보류됐다. 실제로 경기 침체와 맞물려 2008년 7~10월에 1000억달러가량 빠져나갔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프라스트럭처도 문제다. 건설공사 현장에서는 전기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자체 발전기를 쓰는 곳도 많다. 너무 빠르게 공사가 진행된 데 따른 부작용이다. 따라서 현지에서는 공사가 주춤해진 이번 기회에 재정 자금을 활용해 인프라스트럭처부터 대대적으로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투기 방지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분양가격 대비 3~4배 이상으로 거품을 키워놓았던 투기자금이 어느 정도 사라져야 구매력도 안정되고 시장이 정상적으로 돌아간다는 지적이다.

[두바이 = 김상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 ▶ 인기정보 : 월12만원으로 1억 만들기 도전해보시겠습니까?

2009.01.08 17:57:06 입력, 최종수정 2009.01.09 07:37:34

2009년 9월 29일

'김구 동상' '김대중 공항'이 맞다.

'김구 동상' '김대중 공항'이 맞다.

[오마이뉴스] 2009년 09월 28일(월) 오전 11:07 가 가| 이메일| 프린트 [오마이뉴스 김성호 기자]


우리나라 대표적 보수논객인 조갑제 전 월간조선 대표가 놀라운 제안을 하고 나섰다. 국가의 상징물들에 대해 전면적인 교체를 하자는 주장이다. 서울 광화문 광장의 동상과 화폐의 인물 도안을 교체하고, 국제공항과 서울 중심 거리의 이름도 바꾸자고 한다.

조씨는 자신의 홈페이지인 '조갑제닷컴' 에 지난 20일에 이어 25일 잇따라 올린 글을 통해 이런 국가 상징물 교체를 공식 제안했다. 단순히 개인의 일회성 의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의 결단을 압박하면서 공식적인 국민운동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 정도면 보수 세력의 범국민운동이다.

처음에는 '황당한 주장'으로 치부하던 일부 보수언론들도 이제는 그의 제안을 상당히 의미 있게 다루기 시작했다. 그의 주장이 일회성이 아니라 보수 세력의 이념적 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는 데다가 제안 내용이 포괄적이면서 구체성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조씨는 처음에는 '광화문 광장에 이승만 동상 건립과 화폐 도안에 이승만 포함'을 주장하다가, 두 번째 글에서는 '인천공항이나 김포공항을 박정희 공항으로, 광화문 광장 이름도 이승만 광장으로, 테헤란로는 트루먼로'로 바꾸자는 구체적인 제안을 하고 나섰다. 이른바 뉴라이트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보수 세력의 역사관이나 국가관이 그대로 드러나는 주장이다.

국가 상징물 교체하자는 발상은 옳지만...

국가 상징물의 전면 교체를 주장하는 조씨의 제안을 나는 누구보다 환영한다. 나는 조씨에 앞서 <오마이뉴스>에 기고한 기사를 통해 이미 국가 상징물의 교체를 주창한 사람이기 때문이다.(<미안해요, 김구 선생> (2009.8.15), <아프리카 지폐와 한국지폐는 무엇이 다른가> (2007.9.7))

나는 두 번 놀랐다. 조씨와 인식의 출발이 같다는 사실에 한 번 놀랐고, 또 그와 인식의 결과가 너무나 다르다는 점에서 또 한 번 놀랐다. 인식의 논리적 출발점인 기본 철학은 같은데, 결론은 왜 엉뚱하게도 정반대일까? 해방 이후 한국 현대사를 바라보는 역사관의 차이일까, 아니면 보편적 보수주의에서 한참 멀어진 우리나라의 '뒤틀린 보수주의'의 모습을 보는 것일까.

나는 국가 상징물을 교체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그의 철학적 논리와 역사관을 보고 정말 깜짝 놀랐다. 평소 나의 생각과 똑같았기 때문이다. 국가 상징물의 교체 대상도 똑같다. 오로지 다른 것은 대안 인물이다. 혹시 내가 제안한 내용을 보고 대안 인물만을 바꿔치기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 정도다.

조씨는 국가의 상징물인 광화문의 동상과 거리 이름, 화폐 도안의 인물들을 교체해야 하는 이유로 '전부가 대한민국 사람이 아니고, 조선조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들고 있다. 현재 화폐의 인물로는 "이율곡, 신사임당, 이퇴계, 이순신, 세종대왕"만 있고, 서울 거리의 이름으로는 "세종로, 퇴계로, 도산로"만 있다는 것이다. 독립운동가인 안창호 선생의 도산로 대신 이이의 율곡로나 이순신의 충무로를 사례로 들었으면 더 적절했을 듯하다.

조씨는 '이런 현상만 보면 대한민국은 아직 왕의 나라이고, 국민은 신민"이라고 꼬집었다. 국민이 주인인 공화정의 대한민국에도 훌륭한 인물들이 많은데, 왕이 주인이던 봉건왕조시대의 인물만을 포함시켰다는 비판이다. 전적으로 옳은 지적이다.

공화국 시대의 대한민국에 왕조시대 인물만 넘친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5천 년 우리 역사 중 유일하게 국민(인민)이 주인인 공화정, 즉 민주공화국이다. 헌법 제1조의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는 바로 공화정이라는 국체를 규정한 것이다. 세계 모든 나라도 근대 이후의 공화정체제는 옛날 왕정체제와 근본적으로 다른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공화정 출범의 계기가 된 7월 14일과 6월 2일을 각각 혁명기념일과 공화국 기념일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서구 제국주의의 식민지배를 받다가 제2차 세계를 전후해 독립한 제 3세계 국가들도 모두 공화정 체제의 출범인 독립기념일을 기리고 있다. 우리의 8월 15일 광복절도 자주국가로서의 '독립'과 국체로서의 '공화정' 출범을 기념하는 의미다.

이런 점에서 "조선조 인물만 기리면, 생동하는 대한민국은 실종된다"거나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기념물은 서울에 없다", "일본은 화폐에 명치유신 이후 인물만 넣는다", "공화국 체제의 화폐는 거의가 그 공화국을 만든 인물들을 담는다"는 조씨의 말은 구구절절이 옳다. 옛날 왕정시대의 인물들에서 국가의 법통과 정체성을 찾는 나라는 오로지 대한민국뿐이다.

세계 모든 나라는 예외 없이 대부분 공화정 체제의 아버지, 즉 독립투사들을 국가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 수도의 중심 광장도 그렇고, 동상도 그렇고, 거리 이름도 그렇고, 화폐의 인물 도안도 그렇고, 국제공항의 이름도 모두 공화정의 영웅들을 기념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현재의 우리나라 국가 상징물들은 전면적으로 교체가 되어야 한다. 공화정의 독립투사들의 이름이 수도 중심 광장의 동상이나, 화폐, 중심 거리, 국제공항에 하나도 없는 유일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일본군 장교 출신들로 이뤄진 박정희 정권의 친일 성격으로 빚어진 왜곡된 역사의 한 장면을 보여준다.

이승만? 김구? 국부는 누구일까


▲ 국민행동본부, 뉴라이트전국연합, 대한민국사랑회, 한국자유총연맹 등 보수단체회원들이 2008년 8월 15일 오전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건국60주년 기념식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사진과 태극기를 들어보이고 있다.
ⓒ 유성호

대한민국에는 공화정의 얼굴이 될 훌륭한 인물들도 많다. 조씨와 나는 여기서 갈라진다. 그는 이승만과 박정희에서 찾고, 나는 김구 선생과 유관순, 안중근, 윤봉길, 이봉창, 안창호 등 수많은 독립투사에서 찾는다.

우리나라의 국부, 즉 나라의 아버지이며 독립의 아버지, 건국의 아버지, 공화정의 아버지는 누구일까. 대한민국의 역사적 정통성과 정체성, 가치를 대표하는 인물은 누구일까. 우리 대한민국 헌법에 나와 있다.

헌법의 전문에는 법통, 즉 역사적 정통성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에서 찾고 있고, 국가 건국의 기초이념은 "4.19 민주이념"의 민주주의에서 찾고 있으며, 역사적 사명은 "평화적 통일"의 남북통일에서 찾고 있다. 우리의 국부는 독립운동과 민주주의, 평화통일의 얼굴을 한 인물이다. 대한민국의 국부, 나라의 아버지, 건국의 아버지는 바로 김구 선생이다.

이승만은 이미 1925년 국제연맹에 조선의 위임통치를 건의했다 상하이 임시정부에 탄핵당해 초대 임시 대통령직에서 쫓겨나 임시정부의 법통을 잃었고, 4월 혁명으로 쫓겨난 독재자로 자유민주주의의 가치와 어긋나고, 권력 장악을 위한 단독정부 수립과 무력 북진통일론자로 평화통일의 사명에도 어울리지 않는 인물이다. 우리 현행 헌법에서 말하는 국부, 건국의 아버지의 상징인 임시정부 법통과 민주주의, 평화통일의 가치 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주석으로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았으며, 민족주의에 기초한 민주주의자였으며, 인도와 파키스탄의 통합을 통한 통일인도를 추구했던 간디처럼 남북한의 통일정부를 주창했던 평화통일의 상징적 인물이다. 남한만의 이승만 단독 정부와 북한의 김일성 단독 정부의 수립을 모두 반대했던 김구야말로, 현재 대한민국 헌법이 추구하는 건국의 아버지다.

이승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해 대한민국 건국의 아버지로서의 자격이 없다는 보수 세력의 형식 논리야말로 얼마나 공허한가. 인도의 간디를 봐라. 인도의 국부, 건국의 아버지는 독립 후 어떤 국가원수직도 맡지 않은 마하트마 간디지, 초대 총리인 네루가 아니다. 내가 오래전 여행했던 아프리카의 모잠비크와 말라위도 그 나라의 초대 대통령이 아니라 독립투사인 에두아르도 몬들라네와 존 칠렘브웨를 건국의 아버지로 추앙한다.

건국의 아버지는 그 나라의 역사적 정통성과 정체성, 가치를 대표하는 인물이지, 단순히 초대 대통령이 아니다. 보수 세력들이 내세우는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은 허상일 뿐이다. 대한민국은 김구의 이상을 추구하지, 이승만의 가치를 추구하지 않는다.

보수든 진보든 남한은 김구에서 국가의 법통을 찾아야


▲ 김구 선생
ⓒ 백범기념관

제대로 된 보수 세력이라면, 정통 민족주의 보수주의자인 김구를 건국의 아버지요 보수의 상징으로 떠받들어야할 것 아닌가. 우리 보수 세력들은 서구 보수 세력처럼 윈스턴 처칠이나 드골 같은 인물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지 않고, 왜 엉뚱하게 독재와 친일의 이승만과 박정희에게서 그 뿌리를 찾으려 하는가.

우리 헌법의 정신에 비춰보더라도 결코 건국의 아버지가 될 수 없는 이승만과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인권과 민주주의 가치를 파괴한 박정희에 보수 세력들이 집착하는 이유를 알 수 없다. 이승만이 젊은 시절 미국에서 국제외교를 통한 독립운동을 한 사실과 박정희가 경제발전을 이룬 업적을 인정한다 해도, 결코 이승만과 박정희는 건전한 보수 세력의 상징이 될 수 없다.

남한의 경우 분단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법통과 건국의 아버지는 보수든 진보든 민족주의 독립투쟁 노선을 간 김구로부터 찾을 수밖에 없다. 북한에는 사회주의 독립투쟁 노선인 항일게릴라에서 정통성을 찾는 김일성 정권이 있지 않은가.

조갑제씨의 주장대로 '국가의 상징물인 광화문 광장'에는 이승만이 아니라, 김구 동상이 들어서야 한다. 광화문 광장의 이름도 이승만 광장이 아니라, 독립광장으로 불러야 한다. 서울 한 복판의 세종로와 태평로 거리는 이름부터 광복거리나 독립거리로 바꿔야 한다. 조씨 표현대로 "그래야 사람들이 지나다니면서 건국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화폐도 조씨 표현대로 '공화국 체제의 화폐는 거의가 그 공화국을 만든 인물들을 담듯이' 원래대로 공화국의 상징인 김구 선생의 얼굴이 들어간 10만 원 권 지폐는 발행돼야 한다. 조씨의 주장인 "신사임당과 이율곡 중 한 사람을 빼고 이승만을 넣어야 한다"가 아니라, 애초 신사임당 대신 유관순 누나를 넣어야 했다. 지폐에 독립투사가 한 명도 없는 유일한 나라는 바로 대한민국이다.

조씨는 서울 강남 테헤란로의 이름을 트루먼로로 바꾸자고 한다. 한국전쟁 때 미군 파병을 결정한 당시 트루먼 미 대통령을 기리자는 의미란다. 미국의 한국전 참전과 관련해서는 이미 인천의 자유공원에 맥아더 장군 동상이 세워져 있는데, 테헤란로의 이름을 굳이 트루먼로로 바꿀 필요가 있는가.

더욱이 테헤란로의 역사를 안다면 트루먼로로 바꾸자는 주장은 결코 할 수가 없다. 외교 관례상 우리나라가 일방적으로 도로 이름을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테헤란로는 지난 1977년 이란의 수도 테헤란 시장이 서울을 방문해 서울시와 테헤란시의 자매결연 체결을 기념해 두 도시의 도로 이름을 교환하자는 약속에 따른 것이다.

서울에 테헤란로가 있듯이, 테헤란 시내에도 현재 '서울로(서울 스트리트)'가 있다. 테헤란로를 바꾸자는 것은 단순한 도로 이름 바꾸기가 아니라, 서울시과 테헤란시의 자매결연을 파괴하는 행위로서 한-이란간의 우호관계는 물론 외교적으로도 있을 수 없는 결례다.

뉴스위크, 대한민국의 개혁 지도자로 박정희가 아니라 김대중 선정


▲ 고 김대중 전 대통령
ⓒ 오마이뉴스 남소연

조씨는 "김포 공항이나 인천 공항 중 하나는 '박정희 공항'으로 고칠 것"을 제안하나, 인천공항은 김구공항으로 바꾸면 된다. 제3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독립의 아버지 이름을 딴 국제공항을 갖고 있으나, 독재자의 이름을 딴 국제공항은 어디에도 없다. 인도네시아에 수하르토 공항이나 칠레에 피노체트 공항은 없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경우는 경북 구미에 박정희체육관이 있고, 서울 상암동에는 김대중 정부의 약속으로 박정희 기념관도 건립되고 있지 않은가. 경남 합천에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호를 딴 일해공원도 있는 나라다. 국가적 차원이 아니라 지역차원에서 하는 기념사업을 어떻게 하겠는가.

조씨는 "20세기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성공작으로 뽑히는 대한민국의 성공 스토리, 그 주인공이 이승만과 박정희이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최근 미국의 유력한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강력한 지도력으로 '혁신적인 국가 개혁에 성공한 현대 세계의 정치지도자(트랜스포머)' 11인 중에 이승만이나 박정희가 아니라, 김대중 전 대통령을 꼽았다. 한 나라의 지도자는 결코 단순한 경제업적 하나만으로 평가되는 것이 아니다.

김 전 대통령은 넬슨 만델라 전 남아공 대통령과 덩샤오핑 전 중국 지도자, 룰라 브라질 대통령,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 등과 함께 '나라를 바꾼 세계의 개혁 지도자' 11명에 선정됐다. 김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 투쟁과, 평화적 정권교체와 IMF 경제위기 극복, 최초의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 평화 정착, 노벨 평화상 수상 등의 이유로 선정됐다.

자유민주주의 가치와 인권을 부정한 독재자는 결코 존경받는 지도자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뉴스위크>의 평가 기준으로 보면, 박정희는 그 나라의 경제발전에는 어느 정도 기여했을지 모르지만, 군사 쿠데타로 집권해 인권과 민주주의를 파괴한 인도네시아의 수하르토나 칠레의 피노체트처럼 전형적인 제3세계 군부독재자일 뿐이다.

조씨는 "화폐 도안, 거리이름, 동상, 기념관 등을 통하여 우리의 곁에, 우리의 생활 속으로 대한민국의 영웅들이 다가와 있어야 한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그 '대한민국의 영웅들'에 이승만과 박정희는 아니다.

역사는 이승만과 박정희, 그리고 김구와 김대중의 노선 중 어느 쪽의 편을 들어줄까. 대한민국 헌법 정신은 어느 쪽에 있을까. 이제는 정말 잘못된 우리의 역사를 바로 잡아야할 때다. 보수 세력들이 빼앗아간 국부, 건국의 아버지의 자리에 이승만이 아니라 김구를 공식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보수 세력들은 이미 역사적으로 죽은 이승만과 박정희에 집착할수록 노선싸움에서 패배할 수밖에 없다. 보수 세력들도 이제는 이승만과 박정희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처칠이나 드골 같은 새로운 보수주의 지도자를 양성해야 하지 않을까. 김구와 김대중에 대항하려면 말이다.

[최근 주요기사]
☞ 이동통신비 인하?방통위-이통사 '쇼'하나
☞ 여야, 정운찬 총리 인준안 표결 앞두고 대립 '팽팽'
☞ 60년 만에 아들 만난 95세 아버지 "나보다 젊은 애가..."
☞ 한국에서는 '예수'와 '그리스도'가 싸운다?
☞ [서평] 그들은 왜 그많은 돈으로 '명품'을 살까?
☞ [엄지뉴스] 삼십대중반 독거여성 이렇게 먹고 산다
☞ [E노트] 김지하의 개고생... '천만원짜리 개망신' 칼럼


[☞ 오마이 블로그] [☞ 오마이뉴스E 바로가기]
- Copyrights ⓒ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성호(기자)

2009년 8월 28일

Origin of Senafe

History

 

The original name for Saanafè was Hakir. Local tradition states that the name was changed by a man named Abdullah from Sanaa in Yemen; he settled in the Awdie district of Hakir, and upon marrying a local woman he was quoted as saying "Sana-fen" which means in Arabic "where is Sanaa" he was relating to his hometown; thus the town was named Sanafe; his descendants form a tribe and are also known as Saanafè.

An early record of Sanafe is on the Egyptus Novello map, published in 1454. This map shows Sanafe at the edge of Tigray, connected to two routes, one leading west to Axum, the other south to Lake Ashangi.[1]

Senafe is mentioned in an 1794-5 land grant (1787 E.C.) from the Ethiopian Emperor Tekle Giyorgis to Ras Wolde Selassie.[2] During Italian rule, the town grew notably: when A.J. Shepherd visited Senafe in 1869/1869, he described it as having only "some twelve or fourteen bee-hive shaped buildings ... and as many diminutive barns"; in 1891 Alamanni estimated its population as 1,500, and the Italian Guido of 1938 stated the population had increased to 2,000.[3] The modern town suffered extensive destruction during the Eritrean War of Independence and the Eritrean-Ethiopian War, although people are gradually returning from its surrounding refugee camps.

Source: Wikipedia

Eritrea to pay Ethiopia millions





Eritrea to pay Ethiopia millions

An international tribunal in The Hague has ruled that Eritrea will have to pay Ethiopia millions of dollars in compensation for war damages.


Both were ordered to pay each other damages for the 1998-2000 border war, but the verdict leaves Eritrea with $10m (£6m) more to pay.

The ruling covers compensation for businesses and goods lost and villages destroyed during the bitter conflict.

Eritrea has already said it accepts the ruling of the tribunal.

The Claims Commission, set up at the end of the war, ruled on awards across a range of issues.

It gave a monetary value to the damage suffered by Ethiopians during a notorious incident when Eritrean jets dropped cluster bombs on a school in the town of Mekele.

It also awarded Eritreans living in Ethiopia, whose homes and properties were seized by the government.

Some claims - such as an Ethiopian demand for $1bn of environmental damage - were dismissed.

In total Ethiopia was awarded $174m, while Eritrea got $164m - a net payment to Ethiopia of just over $10m.

The chief legal adviser to Ethiopia, Don Pickard, said he did not think the amount reflected the level of damage suffered by Ethiopia during the war.

BBC Africa analyst Martin Plaut says the real tragedy is that the money, like the rest of the internationally supported peace process, will settle very little.

The border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still in dispute and tens of thousands of troops remain entrenched along the border, over its bleak mountains and deserts.

Tens of thousands of troops remain entrenched along the border



Story from BBC NEWS:

http://news.bbc.co.uk/go/pr/fr/-/2/hi/africa/8208285.stm



Published: 2009/08/18 16:46:01 GMT



© BBC MMIX

새로운 식민지 개척법 ‘땅 사들이기’

영국 가디언; “부자 나라들 앞다퉈 저개발 국가 땅 수천만ha 사들여” 보도…

현지인 식량권·노동권 침해 심각
 
 
식량권.’(Right to Food)


굶주리지 않을 자유, 배고프지 않을 권리, 하늘이 내린 가장 기본적인 인간의 권리다. 지구촌이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1966년)에서 일찌감치 ‘식량권’(제11조 2항)을 인권의 하나로 규정한 것은 지당하다.

» 상대적으로 비옥한 토지가 많고 값싼 노동력이 몰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농지 확보에 나선 부유한 나라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일단 외국자본이 진출해 땅을 장악하면, 그곳에 기대어 살던 현지 주민들의 ‘식량권’이 위태로워지는 경우가 많다. 사진 REUTERS/ FINBARR O'REILLY


협약에 따르자면, 가입국 정부는 자국민이 스스로 충분한 먹을거리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침해해선 안 된다. 기업 등 민간 부문이 국민의 식량권을 침해하도록 내버려둬서도 안 된다. 또 각 개인과 집단이 스스로 충분한 먹을거리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협약상 그러하다. 하지만 협약 가입만으로 인권이 보장되는 건 아니다. 이른바 ‘국제사회의 약속’이란 게 늘 이런 식이다.


사들인 땅 20%는 식량 대신 연료용 곡물 재배

돈 많은 나라가 가난한 나라의 농토를 입도선매하고 있다. 이를 두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7월3일치에서 “땅 뺏기”또는 “신식민주의”라고 표현했다. <가디언>은 유엔 등의 자료를 따 “(지난해부터만 따져도) 신흥개발국과 중동의 걸프 연안국가 등이 해외에서 임차·매입한 (또는 이를 위해 협상 중인) 농지가 무려 3천만ha에 이른다”며 “지난 6개월 새에만 유럽 경작 가능 농지의 절반에 가까운 2천만ha의 저개발국가 땅에서 주인이 바뀌었다”고 전했다. 이들 토지 가운데 약 20%는 식량이 아니라 ‘친환경’ 바이오 연료 생산용 곡물 재배에 활용된단다.

미 싱크탱크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의 자료를 보면, 부국이 빈국의 토지 개발·이용에 들이는 돈만 한 해 평균 200억~300억달러에 이른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지난 2002년 펴낸 <21세기 농업을 위한 지구촌 농생태 평가 보고서>에서 “아시아 대륙의 경작 가능한 농지의 95%가 이미 경작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중부 유럽과 중앙아시아, 라틴아메리카와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의 땅으로 외국 자본이 몰리고 있다. 2007~2008년 식량위기는 이런 추세에 기름을 부었다.

특히 상대적으로 비옥한 농지가 많고, 날씨가 곡물 재배에 적합한데다, 값싼 노동력까지 몰린 아프리카가 표적이 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개발정책을 연구하는 영국 ‘국제환경개발연구소’(IIED)가 지난 6월 내놓은 자료를 보면, 에티오피아·가나·마다가스카르·말리·수단 등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5개국에서만 2004년 이후 외국 자본에 임차 또는 매도한 토지가 약 250만ha에 이른다. 한국의 대우로지스틱스도 마다가스카르에서 무려 130만ha의 땅을 임차하려다, 현지 정정 불안과 경영 악화가 겹쳐 무위에 그친 바 있다.

기왕에 그 땅에 기대 살아가던 이들에겐 아무런 ‘법적 권한’이 없다. 대부분 국유지인 탓이다. 일단 외국 자본에 경작권이나 소유권이 넘어가면, 그 땅에서 대대로 물 긷고 땔감 줍고 소떼를 키워온 이들의 삶은 한순간 나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접근’조차 차단되기 때문이다.


“대규모 농지 매매 땐 주민 의사 수렴을”

다른 측면에서도 바라볼 필요가 있다. 기본적인 인권의 한 축을 이루는 ‘노동권’이다. 유엔 식량권특별보고관실은 지난 6월11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식량권 부문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은 역설적이게도 약 5억 명으로 추산되는 농업 노동자”라며 “특히 전세계 어린이 노동의 약 70%, 줄잡아 5~14살 어린이 1억3400만 명이 농업 노동자로 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축이 무너지면, 다른 것도 설 자리를 잃는 게 ‘인권’이다. <로이터통신>은 올리비에 드쉬테르 식량권특별보고관의 말을 따 “인권의 관점에서 볼 때, 대규모 농지의 소유·이용권 변화는 반드시 사전에 충분히 정보를 숙지한 현지 주민들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말은 쉽다. 행동은 어렵다. 인권이 그렇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비싼 광물의 저주

움츠렸던 후투 반군 다시 콩고에서 악행 저질러… 주석·탈탄·텅스텐과 금이 반군의 무기로 변신

지난 1998년 8월 시작된 제2차 콩고 내전은 아프리카 근대 역사상 최악의 전쟁으로 불린다.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국가만도 8개국, 가담한 무장단체만도 25개에 이른다. 2003년 7월 콩고민주공화국(DRC·이하 콩고) 임시정부가 들어서면서 공식적으로 ‘종전’이 선언됐지만, 누구도 콩고 내전이 끝났다고 믿지 않는다. 지난 2008년 말까지 공식 통계로만 모두 540만여 명이 이 핏빛 전쟁으로 목숨을 잃었다. 사망자 대부분은 질병과 굶주림 속에 쓰러져갔다.

» 콩고민주공화국 동북부 킬로모토 지역의 코부 마을 금광에서 주민들이 채굴 작업에 한창이다. 이 일대에서 출몰하는 후투족 반군세력은 금 등 광물을 판 돈으로 유혈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 REUTERS/ FINBARR O'REILLY


주석 8500만달러, 금 4400만달러 이상…

콩고 내전의 뿌리는 1994년 르완다 대학살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르완다 후투족 무장세력은 그해 4월부터 7월까지 석 달여 만에 투치족과 투치족을 도운 후투족 80만여 명을 무참히 살육했다. 손도끼와 칼이 곧 ‘대량살상무기’였다. 투치족이 주도한 르완다애국전선(RPF)이 치열한 전투 끝에 수도 키갈리를 장악한 8월께부터 학살에 가담했던 후투족 무장세력들이 국경을 넘어 콩고(옛 자이르) 땅 동부 지역으로 흘러들었다. 콩고에서 두 차례 내전의 불길이 타오른 이유다. 올 초에도 콩고 정부군과 르완다군이 이 일대에서 후투 반군 소탕작전을 대대적으로 벌이면서, 줄잡아 25만 명이 피난길에 올라야 했다.

최근 콩고 동부 지역에서 다시금 성폭행 사건이 급증하고 있다. 몸을 움츠리고 있던 후투 반군이 귀환한 게다. <콩고타임스>는 지난 6월7일치에서 “동남부 키부 지역을 중심으로 후투 반군이 야밤에 민간인 거주지를 급습해, 무차별 폭력과 함께 (인종청소의 일환으로) 여성들을 성폭행하는 사건이 급격히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현지 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관계자의 말을 따 “지난 석 달 동안에만 이 일대에서 463건의 성폭행 사건이 벌어졌다”고 전했다.

전쟁과 폭력에도 돈이 든다. 후투 반군이 10여 년째 온갖 악행을 저지르며 콩고 동부에서 버티고 있는 것도 이 일대에 풍부하게 매장된 광물자원 때문이다. 시에라리온 내전을 부추긴 것이 ‘핏빛 다이아몬드’(blood diamond)라면 콩고의 내전을 온전시키는 것은 바로 이들 ‘핏빛 광물’(blood mineral)이다. 두 나라의 내전은 곧 ‘자원이 부른 저주’인 게다. 미국진보센터(CAP)에 딸린 ‘이너프프로젝트’가 최근 펴낸 ‘이제 콩고에 귀기울일 수 있나요?’란 제목의 보고서를 보면, 핏빛 광물이 어떻게 전쟁을 부추기고 있는지 소상히 알 수 있다.

콩고 동부 일대에서 출몰하고 있는 3대 반군세력은 콩고인민방위군(CNDP), 르완다민주해방군(FDLR), 콩고반군(FARCD) 등이다. 반군들은 주로 광산 지역에 똬리를 틀고 있는데, 대표적 핏빛 광물로 꼽히는 것은 흔히 ‘3T’로 불리는 주석(tin)·탈탄(tantalum)·텅스텐(tungsten)과 금이다. 보고서의 설명을 들어보자.

“주석은 주로 회로기판 땜질용으로 사용된다. 후투 반군은 주석을 팔아 한 해 약 8500만달러를 벌어들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탈탄은 각종 전자제품에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축전장치의 원료가 된다. 탈탄을 활용한 축전장치를 달면 제품을 소형화하고, 고온에도 잘 견딜 수 있게 된다. 주로 MP3플레이어·휴대전화·디지털카메라 등에 사용하는데, 탈탄 수출로 반군이 벌어들이는 돈은 한 해 약 800만달러에 이른다. …텅스텐은 충격에 강하기 때문에 휴대전화 소재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반군은 텅스텐을 팔아 한 해 200만달러를 손에 넣는다. … 그리고 보석 가공용과 부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황금이 있다. 한 해 4400만달러에서 8800만달러의 금 판매 대금이 반군 진영으로 흘러들고 있다.”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제도’가 실마리 될까

돈줄을 막아야 전쟁을 끝낼 수 있다. 어떻게 해야 하나? ‘핏빛 다이아몬드’를 막기 위해 국제시장에 출시되는 다이아몬드의 원산지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뼈대로 도입된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제도’에서 실마리를 풀 수 있겠다. 미 상원이 지난 5월 발의한 ‘2009 콩고 핏빛 광물 법안’은 그런 노력의 첫걸음으로 평가할 만하다. 이를테면 법안은 미 증시에 상장된 모든 회사가 수입한 광물의 원산지는 물론 채굴된 광산까지 공개하도록 정하고 있다. 우리 손에 들린 휴대전화·MP3플레이어·비디오게임기와 노트북컴퓨터도 유심히 살펴볼 일이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